주식 시장에서 '숏'은 '주식을 판다' 또는 '주가 하락에 베팅한다'는 뜻이에요. 숏 셀링(short selling), 셀 숏(sell short)으로 많이 쓰이죠.
숏 셀링은 공매도를 말해요. 공매도의 ‘공(空)’은 비어 있다는 뜻, 즉 내 손에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예요. 어떤 주식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팔겠다고 '매도 주문'을 하는 거죠.
현재 10만 원인 A주식의 가격이 곧 하락할 듯한 상황이라 가정할게요. 공매도 투자자 김씨는 A주식 1주를 빌려 10만 원에 팝니다. 며칠 뒤 예상대로 주가가 8만 원으로 떨어졌어요. 이때 1주를 8만 원에 사서 며칠 전 빌린 주식을 갚으면? 2만 원의 차익이 생기죠. 이게 공매도의 원리예요.
이렇듯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하는 데에 베팅해요. 그래서 주가가 떨어지는 시장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어요.
Richard Jung
Aug 11, 2024
Replying to
롱 long, 매수를 뜻해요
롱(long)은 숏(short)과 반대로 매수하다, 주가 상승에 베팅하겠다 등을 뜻해요. 핵심은 이 주식은 오를 것으로 판단했으니 사서 갖고 있겠다는 것. 이 상태를 ‘롱 포지션(long positions)’라고 해요.
고수가 아닌 많은 평범한 투자자는 주식이 쌀 때 사서 비싸지면 파는데요. 이러한 투자 형태가 롱(long)이에요.
Richard Jung
Aug 11, 2024
Replying to
덧붙이는 이야기
언제부터 쓰였을까
어떤 이유로 숏(short)이 매도, 롱(long)이 매수로 쓰였는지에 관한 정설은 없어요. 단지 추정하는 '설'만 있죠.
한 가지 가설은 18세기 초 미국 동부 곰 가죽 시장이 성행했을 때로 거슬러 올라가요. 곰 가죽값이 아주 비쌀 때, 똑똑한 상인들이 수중엔 가죽이 부족한데도 일단 파는 계약을 했다고 해요. short은 ‘짧다, 부족하다’라는 뜻이 있어, 이런 매매를 숏 셀링(short selling)이라 부르기 시작했대요.
또 중세 유럽에서 돈을 빌려주고 받을 때 쓰던 막대기인 ‘탤리 스틱’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어요. 돈거래를 할 때 돈을 빌려준 사람이 긴 쪽을 가지고, 돈을 빌린 사람이 짧은 쪽을 가졌다는 거죠. 그래서 시간이 지났을 때 돈이 생기는 쪽은 롱(long), 갚은 돈만 있는 쪽은 숏(short)이 됐다는 얘기예요.
Urban GC
May 24, 2024
Four Factors Why Fall Protection is Critical for Your Business | Safety Counseling
주식 쑛 롱 포지션
Four Factors Why Fall Protection is Critical for Your Business | Safety Counseling
https://safetycounselling.com/four-factors-why-fall-protection-is-critical-for-your-business/